본문 바로가기
재무회계

26. 금융부채의 분류

by 알로에0390 2023. 9. 13.
반응형

금융부채는 채무상품으로써 크게 당기손익 ─ 공정 가치측정 금융부채(이하 '당기손익 인식 금융부채")와 기타 금융부채로 구분하고 있다. 당기손익 인식 금융부채는 단기 매매 금융부채와 당기손익인식지정금융부채로 나누어진다.

1. 당기손익 ─ 공정 가치측정 금융부채

당기손익 인식 금융부채는 다음 중 하나의 요건에 해당하는 금융부채이다. 단, 부채가 단기매매 활동의 자금조달에 사용된다는 사실만으로는 당해 부채를 단기 매매 금융부채로 분류할 수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① 단기매매 항목 분류

㉠ 주로 단기간 내에 매각하거나 재매입할 목적으로 취득하거나 부담한다.

㉡ 최초 인식 시점에 최근의 실제 운용 형태가 단기적 이익획득 목적이라는 증거가 있으며, 그리고 공동으로 관리되는 특정 금융상품 포트폴리오의 일부이다.

㉢ 파생상품이다(다만, 금융보증계약인 파생상품이나 위험회피 수단으로 지정되고 위험회피의 효과적인 파생상품은 제외한다).

② 최초 인식 시점에 당기손익인식항목으로 지정한다(당기손익인식지정금융부채).

단기 매매 금융부채의 예는 아래와 같다.

① 위험회피 수단으로 회계처리하지 아니하는 파생상품부채

② 공매자(차입한 금융자산을 매도하고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자)가 차입한 금융자산을 인도할 의무

③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의도로 발행하는 금융부채(예: 공정가치 변동에 따라 발행자가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수 있으며 공시가격이 있는 채무상품)

④ 최근의 실제 운용 형태가 단기적 이익획득 목적이라는 증거가 있고 공동으로 관리되는 특정 금융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금융부채

아래의 항목 중 하나에 해당하는 금융부채를 당기손익 인식 금융부채로 지정할 수 있다. 단, 한번 단기손익인식금융부채로 지정하면 취소할 수 없다.

① 당기손익인식항목으로 지정하면,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하거나 그에 따른 손익을 인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인식이나 측정상의 불일치('회계불일치'라 불리기도 한다)가 제거되거나 유의적으로 감소된다.

② 문서화된 위험관리전략이나 투자전략에 따라, 금융상품집함(금융자산, 금융부채 또는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조합으로 구성된 집합)을 공정가치기준으로 관리하고 그 성과를 평가하며 그 정보를 이사회,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에게 공정가치기준에 근거하여 내부적으로 제공한다.

2. 기타 금융부채

기타 금융부채는 당기손익 인식 금융부채로 분류되지 않은 모든 금융부채를 의미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