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가회계12 8.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 (1) 수량의 결정 재고자산의 수량 결정 방법에는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이 있다. 1) 계속기록법 계속기록법이란 상품의 입, 출고 시마다 수량을 계속해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장부상 재고 잔량을 기말재고 수량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기말재고 수량은 당기 판매 가능 수량(기초재고 수량+당기 매입 수량)에서 당기 판매 수량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계속기록법에 의할 경우 기초재고 수량, 당기 매입 수량, 당기 판매 수량이 모두 기입되므로 언제든지 장부상의 재고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2) 실지재고조사법 실지재고조사법이란 정기적으로 실지 재고조사를 통하여 재고 수량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상품재고장에 입고 기록만 할 뿐, 출고기록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당기 판매 수량은 당기 판매 가능 수량(기초재고 수량+당기 .. 2023. 6. 15. 7. 재고자산 1. 취득원가의 결정 (1) 재고자산의 의의 재고자산이란 판매를 위하여 보유하거나 생산과정 중에 있는 다음의 자산을 말한다. ①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 중인 자산 ②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생산 중인 자산 재고자산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영업활동과 관련되어야 할 것을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동일한 자산이라 할지라도 소유하고 있는 회사의 정상적인 영업활동 내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그 구분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일반제조기업이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한 토지, 건물 등은 유형자산으로 분류되나,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 보유한 있는 판매 목적의 부동산은 재고자산으로 분류한다. 재고자산의 계정과목은 다음과 같다. ①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구입한 상품, 미착.. 2023. 6. 14. 6. 원가 배분의 개요 1. 원가 배분의 의의 원가배분이란 공통원가를 일정한 배분기준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가대상에 합리적으로 대응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원가배분은 모든 기업의 원가계산에서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로서, 원가회계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 원가배분의 목적 원가배분은 본질적으로 회계담당자의 임의성이 개입된다는 이유로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여전히 원가회계나 재무회계의 중요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원가배분의 궁극적인 목적은 경영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적의 자원배분을 위한 경제적 의사결정 회사의 미래계획수립 또는 자원배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원가정보를 파악해야 한.. 2023. 6. 13. 5.종합원가계산 1.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종합원가계산이란 단일 종류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대량생산 하는 업종에 적합한 원가계산 방법이다. 이 방법은 원가를 개별작업별로 집계하는 개별원가계산과는 달리 공정이나 부문별로 원가를 집계한 다음, 집계한 원가를 각 공정이나 부문에서 생산한 총산출물의 수량으로 나누어 산출물의 단위당 원가를 구하는 평균화과정에 기초하고 있다. 평균화과정이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생산된 제품은 동질적이기 때문에 각 제품의 단위당 원가 역시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종합원가계산을 적용하는 회사는 동종제품을 계속해서 대량생산 하기 때문에 개별작업별로 작업지시를 발행할 필요가 없고 개별작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개별원가계산보다 더 단순하게 원가계산을 할 수 있어 관리비용도 적게 발.. 2023. 6. 1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