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1 33. 자본의 기초 1. 자본의 의의 전통적으로 소유주지분이라고 불려 온 자본은 오늘날 주식회사가 기업의 대표적인 형태가 됨에 따라 주주지분이라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주주지분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의 총액에서 부채의 총액을 차감한 잔액으로 측정된다. 즉, 주주지분은 자산과 부채의 평가 결과에 따라 종속적으로 산출되는 잔여 지분의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주주지분은 특정자산에 대한 청구권이 아니라 총 자산 중 일부분에 대한 청구권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금액도 일정액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을 따라 변한다. 이와 같은 주주지분은 법률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에서 분류할 수 있다. 법률적 관점에서 보면 주주지분은 법정자본과 잉여금으로 분류된다. 법정자본은 자본금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해.. 2023. 9. 22. 32. 충당부채의 측정 & 특수한 상황 1. 충당부채의 측정 (1) 최선의 추정치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현재의무를 보고 기간 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출의 최선의 추정치이어야 한다. 현재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는 보고 기간 말에 의무를 이행하거나 제삼자에게 이전하는 경우에 지급하여야 하는 금액이다. 충당부채로 인식하여야 하는 금액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를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충당부채가 다수의 항목과 관련되는 경우에 당해 의무는 모든 가능한 결과와 그와 관련된 확률을 가중평균하여 추정한다. 따라서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측정 금액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에 따라 다르게 측정된다. 만일 가능한 결과가 연속적인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각의 발생확률.. 2023. 9. 21. 31.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의 개념 및 인식 1. 개념 (1)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지출하는 시기 또는 금액이 불확실한 부채를 말한다. 충당부채는 과거 사건에 의해서 발생한 현재의무(법정의무 또는 의제의무)로 지출하는 시기 또는 금액이 불확실한 부채를 의미하며, 반드시 재무상태표에 부채로 인식한다. 의제의무란 과거의 실무 관행, 발표된 경영방침 또는 구체적이고 유효한 약속 등을 통하여 기업이 특정 책임을 부담하겠다는 것을 상대방에게 표명하였고, 그 결과 기업이 당해 책임을 이행할 것이라는 정당한 기대를 상대방이 가지게 함에 따라 발생하는 의무를 의미한다. (2) 우발부채 우발부채는 다음의 ① 또는 ②에 해당하는 의무를 의미한다. ①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나, 기업이 전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불확실한 미래 사건의 발생 여부에 의하여.. 2023. 9. 20. 30. 복합금융상품의 회계처리 1. 복합금융상품의 의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복합금융상품은 부채 요소와 자본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금융상품을 의미한다. 복합금융상품은 형식적으로 하나의 금융상품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둘 이상의 금융상품을 복합하여 만들어진 신정 금융상품으로 전환사채가 가장 대표적이다. 전환사채는 당해 증권의 소유자가 보통주 청구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면 보통주가 추가로 발행되는 금융상품 또는 기타 계약을 말한다. 전환사채는 유가증권을 이용한 회사의 자금조달 방법 중 하나로 투자자를 유인하기 위하여, 채권자적 지위와 주주적 지위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만든 복합금융상품으로 법적인 형식은 부채이지만, 경제적 실질로 볼 때에는 잠재적인 보통주 자본이다. 2. 복합금융상품의 종류 복합금융상품의 종류로는 전환사채, 신.. 2023. 9. 18. 이전 1 2 3 4 5 ··· 23 다음 반응형